📊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기
📐 계산 공식도 알아보자! 국민연금 수령액은 이렇게 나와요!
직접 계산은 복잡할 수 있지만, 구조만 이해하면 생각보다 쉬워요!
기본연금액 = A값 + B값
-
A값: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월액의 20% (이 A값은 매년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공시되는 기준금액을 따릅니다. 최근 기준으로는 약 300만 원 정도로 계산되곤 해요!)
B값: 본인의 평균 소득월액 × 1.2% × 가입 개월 수
예를 들어서 내가 월 평균 250만 원을 벌고, 20년(240개월) 동안 납부했다고 가정하면:
A값 = 300만 원 × 20% = 60만 원
B값 = 250만 원 × 0.012 × 240 = 72만 원
-
👉 총 예상 연금액 = 60 + 72 = 132만 원
여기에 부양가족이 있으면 추가 금액이 붙기도 하고, 수령 시기를 조정하면 감액 또는 증액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. 그렇기 때문에 내 조건을 정확하게 알고 조회하는 게 중요하답니다!
🕒 수령 시기도 중요해요!
국민연금은 원칙적으로 만 65세부터 수령 가능하지만, 조기 수령과 연기 수령도 가능해요.
-
60세부터 조기 수령하면 수령액이 매년 약 6%씩 감액돼서 5년 앞당기면 30% 정도 줄어든 금액을 받게 돼요.
-
반대로 66세 이상으로 수령을 미루면 매년 약 7.2%씩 증가해서 최대 36%까지 늘어난 연금액을 받을 수 있어요!
예를 들어 65세에 매달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70세까지 연기하면 무려 136만 원을 받는 거죠! 매달 수령액 차이가 크기 때문에,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수령 시기를 결정하는 게 좋아요.
👩🏫 나의 생각: 국민연금은 결국 ‘시간’이 재산이다
이건 정말 제가 공부하면서 깨달은 핵심이에요. 국민연금은 소득 수준도 당연히 영향을 주지만, 가장 큰 변수는 가입 기간이에요.
10년 이상 납부해야 기본적인 연금 수령 자격이 생기고, 20년, 30년 이상 꾸준히 낼수록 연금액은 눈에 띄게 증가하더라구요. 공백 없이 오래 납부하는 게 진짜 핵심이라는 걸 알게 됐죠.
그래서 저는 대학 졸업 후 되도록 빨리 취업해서 국민연금 납부를 시작하고, 중간에 직장 옮기거나 잠시 쉬는 시기가 와도 임의가입 제도로 꾸준히 채워나갈 계획이에요.
그리고 이건 꼭 드리고 싶은 말인데, 부모님 연금도 함께 체크해드리세요! 저는 엄마께 국민연금 가입 이력 보여드렸더니, 예전에 몇 년 납부 안 한 기간이 있다는 걸 처음 아셨거든요. 추납제도나 임의계속가입 제도 등을 통해 다시 납부하면 연금액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도 알려드렸어요. 부모님께 드릴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‘연금’일지도 몰라요.